네이버 블로그 검색 로직이 변경되었다. 좋은 콘텐츠를 만들려고 하는 선의의 블로거와 달리 꼼수와 블로그 매입같은 불법(그들은 합법이라고 당당히 광고하고 있지만)적인 방법으로 검색어 최적화 방법을 조작하는 블로거를 구별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때문에 기존 로직에 간신히 적응한 블로거들도 검색어 최적화 결과에 반영되지 않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사실 나는 좋은 변화라고 생각되지만, 기존에 잘 검색이 되던 자신의 블로그가 어느날 잘 검색되지 않는다면 누구나 당황할 것이다.
이런 현상이 생기면 늘 항간에 이상한 루머가 떠돌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더 이상 최적화 블로그는 불가능 하다든지, 최적화 블로그를 만들려면 이렇게 하면 되더라 하는 이상한 공식이 생긴다든지.. 그런데, 사실 원칙은 바뀐바가 없다. Google 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원리 Search Engine Optimization 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약간의 응용을 해서 네이버에서도 검색어 최적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먼저 최근 변경된 네이버 검색 엔진의 가장 큰 특징은 과거 C-Rank 가 높은 사람은 여전히 검색어 노출 상위 자격이 주어지지만 C-Rank 는 높더라도 활동을 자주 하지 않았던 블로거들의 콘텐츠가 검색이 되지 않았는데, 이제 활동을 자주 하지 않더라도 검색어와 연관성이 높은 블로거의 콘텐츠라면 검색 결과에 반영을 시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 되었다.

물론, 여전히 몇달만에 한번 글을 쓰는 정도라면, 검색 결과에 노출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과거에 비해 활동은 덜 하더라도 내용의 진정성(?)이 높은 콘텐츠라면 검색 상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런데, 사람들은 진정성 있는 콘텐츠 보다는 활동을 열심히 하면 쉽게 반영될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나는 이런 네이버의 검색 엔진 로직의 변화에 대해서 적극 찬성한다. 네이버를 검색하면 양질의 웹 혹은 네이버 플랫폼이 아닌 문서가 검색되기 보다는 네이버 플랫폼 내의 즉 네이버 블로그나, 포스트 등의 글이 더욱 잘 검색된다. 그런데, 검색 결과를 읽다보면 좋은 정보를 얻는다는 느낌보다, 영양가 없는 정보가 너무 많아 스스로 필터링하기 어렵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이는 C-Rank + 활동이 왕성한 사람의 글이 상위에 노출되다 보니 발생한 결과라 생각된다.
양질의 콘텐츠는 생산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하루 이틀 고민해서는 양질의 글이 나올 수 없다. 평소 관련 주제에 대해서 경험도 풍부해야 하겠지만, 리써치를 통해서 관련 주제에 대한 타인의 생각도 이해하고 있어야 양질의 글이 나올 수 있다. 자연스럽게 양질의 글 하나를 생산하는데 걸리는 시간만큼 블로그 활동은 빈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이런 글도 상위 노출이 가능하다고 하니 검색 결과로 볼 수 있는 글들이 조금 더 좋은 정보를 갖고 있길 기원해 본다.
네이버 검색어 최적화에 대한 글은 다음 글을 참조: https://thelife.marketing/2017/11/26/네이버-블로그-최적화-naver-seo-2/
네이버에서 발표한 공식 정보 : http://campaign.naver.com/blosum/pc/index.nhn
네이버 C-Rank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 : https://blog.naver.com/akinterv/220980689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