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최적화 신생 블로그의 경우 주의점

신생 블로그인데, 블로그 최적화 작업이 가능한가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까요?

더라이프는 이틀에 한번꼴로 이런 상담 전화를 받는다. 특히 최근에는 네이버 뿐 아니라 Google SEO 즉 Google 기반 검색어 최적화 작업도 가능한지 묻는 문의도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담의 대부분은 작업을 대행해 줄 수 있느냐는 문의이다. 블로그 최적화 및 Google SEO 는 콘텐츠를 통한 최적화 작업이다. 그런데, 콘텐츠를 대행사에게 100% 맡겨서라도 최적화를 하고 싶은지 조금 의아해진다.

더라이프는 대행사가 아니라, 일종의 마케팅 노하우를 기술이전해 주는 자문회사이다. 즉, 더라이프는 의뢰인 기업 내부에서 직접 온라인 마케팅의 기본을 이해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실무에 대한 노하우를 전달하고 리뷰를 통해 바른 길로 가고 있는지 검토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블로그 최적화에 대해서 워낙 루머가 많다보니, 잘못된 정보로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업체도 많이 있다. 이런 업체를 위해 몇가지 루머를 소개하고 주의할 점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특히 이번 포스팅은 신규 블로그를 만들어서 블로그 최적화를 할때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안내를 해 보려 한다.

블로그 최적화 신생 블로그에서 주의할 점 상담
블로그 최적화 상담 중

루머 : 신규 블로그는 최적화 작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xx 이전 블로그 아이디를 매입해서 작업해야 한다.

어디서 이런 근거없는 루머가 시작되었는지 모르겠으나, 그 배경은 일부 이해가 된다. 신규 블로그의 경우 오랫동안 운영하던 블로그 대비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주의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저품질 블로그로 분류되어 최적화는 커녕 검색에서 패널티를 받고 새로운 글을 쓰더라도 무척 후순위에 (엄청 끝에…) 검색이 된다. 혹은 검색 자체가 블록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험을 한 사람들이 “신규 블로그”는 최적화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 것이 퍼진 모양이다. 그럼 어떤 경우를 주의해야 할까?

“청소년 유해 키워드”

신생 블로그의 경우 패널티를 쉽게 받는다. 그 이유는 해당 블로그의 배경에 대해서 검색엔진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글을 포스팅하더라도 실제 블로그의 테마와 관련이 있는 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는 오래된 블로그(오랫동안 실제 열심히 운영한 블로그) 대비 약점을 갖고 있는 셈이다.

특히 “청소년 유해 키워드”의 경우 무척 주의를 요구한다. 해당 키워드는 근본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키워드이다. 하지만, 업무상 반드시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그렇더라도 블로그 운영 초반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이런 키워드를 사용할 경우 신생의 경우 저품질 블로그 혹은 유해 블로그로 분류되어 검색이 되지 않거나, 블로그 전체에 큰 패널티를 부과한다. 빠져나오는 방법은 있겠지만, 극복하려면 최적화에 들어간 노력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유사 콘텐츠

신생 블로그를 운영할때 콘텐츠의 양보다 질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일부 블로거의 경우 양을 늘리기 위해서 타인의 콘텐츠와 유사한 제목/내용을 포스팅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유사 콘텐츠로 분류되어 역시 저품질 블로그가 되기도 한다. 이 경우도 복구는 가능하겠지만, 한번 정당한 사유(네이버 입장에서)로 저품질 블로그로 분류되면 복구하기 힘들다. (종종 새로운 블로그를 시작하는 것이 더욱 쉬울 정도이다.)

더라이프 블로그 최적화 기술이전
더라이프는 블로그 최적화 기술 이전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움츠러들 필요는 없다. 창의적인 본인의 생각을 포스팅으로 옮긴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또한, 신생 블로그로 얼마든 최적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루머를 신경쓸 필요없이 본인의 콘텐츠를 만들어 블로그 최적화 작업에 도전해보자!

만일 타인의 콘텐츠를 복사한 것도 아니고, 청소년 유해 키워드를 사용한 것도 아닌데 저품질 블로그가 되었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여 복구를 해 보자.

블로그 최적화 주의점

블로그 최적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 보자.

Leave a Reply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