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프로 11 (GoPro 11) 촬영 팁 – 유튜브 쇼츠 (YouTube Shorts)

고프로 11 은 액션 카메라이다. 즉, 야외에서 광량이 좋은 상황에서 액션을 할 때 가장 빛을 발한다. 그렇지 않고 그냥 일상을 찍는 목적이라면 사실 고프로는 조금 아쉽다. 액션 카메라의 최대 장점은 짐벌을 별도 사용하지 않더라도 꽤 부드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한 가지 조건이 있다. 그건 바로 “광량”이 좋을 때라는 점이다.

광량이 떨어지면 GoPro의 화질은 정말 급격히 떨어진다. 하지만, 조금 팁을 알고 있다면 광량이 떨어질 때도 어느 정도 사용할 만한(?) 화질을 얻는 방법이 있다. 오늘은 해가 쨍쨍하지 않은 곳에서 최고의 화질을 얻는 방법과, 세로 영상 촬영하고 유튜브의 Shorts로 활용하는 팁을 소개해 보기로 한다.

고프로 11 (GoPro11) 촬영 팁
유튜브 쇼츠(Shorts) 와 메인 영상의 B-roll 영상으로 편리한 고프로 11 (GoPro 11)

고프로 11(GoPro11) 광량이 어두워질 때 촬영 방법 팁

<씨네마 모드 기준으로 설명>

GoPro11 촬영 팁 소개
기본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편리하다. 일상을 기록할땐 씨네마 모드가 가장 편리하다.

고프로 11은 5K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그런데 광량이 어두울 땐 5K로 영상을 찍기보다 4K로 설정하는 것이 살짝 유리하다. 그리고 60 프레임(Frame rate)으로 설정이 기본으로 되어 있을 텐데, 만일 120프레임 이상 바꿨을 경우 (슬로모션 등을 위해서) 60프레임으로 다시 설정하는 것이 좋다.

고프로11 촬영 팁
씨네마 모드 선택하는 곳에 연필 모양의 아이콘 모양을 누르면 사용자 설정을 바꿀 수 있는 메뉴가 나온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Hypersmooth 설정이 Autoboost로 되어 있을 텐데, Hypersmooth “on”으로 낮추는 것이 좋다. 만약 간이 삼각대라도 사용하고 있다면, 손떨림 방지 설정을 완전히 끄는 것도 방법이다.

사실 Hypersmooth 설정이 Autoboost로 되어 있으면 손떨림 방지가 가장 강력하다. 막 뛰어도 부드러운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대신 이렇게 만들기 위해 ISO를 높이기 때문에 노이즈가 정말 많이 생긴다. 광량이 쨍한 곳이라면 상관없지만, 꽤 밝은 실내라도 인공조명이 있거나, 야간이 되면 손떨림 방지 때문에 노이즈가 엄청나게 생긴다.

기존 Resolution 5.3K 에서 4K 로 낮추면 어두울땐 조금 더 유리하다.

물론 이렇게 설정을 하더라도 어둠이 내린 뒤는 상당히 노이즈가 많이 생긴다. 더욱 깨끗한 영상을 찍고 싶다면 삼각대를 사용하고, ISO까지 수동 설정으로 바꿔서 1600까지 내리는 것이 좋다. 물론 영상도 같이 어두워지지만 말이다. 어두운 건 어느 정도 괜찮다고 본다. 어차피 밤은 어두워야 하니까 말이다.

고프로 세로 영상 찍고 유튜브의 쇼츠 (Shorts)로 사용

GoPro의 장점 중 하나는 세로 영상이 지원된다는 점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 사진처럼 고프로를 세로로 들기만 하면 끝이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점이 있다. 세로 영상을 찍을 때는 아래위로 막 움직이기보다는 수평/수직을 유지한 채 아주 천천히 움직이거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고프로 세로 촬영
이렇게 세로로 들고 찍으면 세로 영상이 담긴다!

수평/수직을 잘 유지하지 못하면 영상에 왜곡이 심하다. 워낙 광각 렌즈가 들어있기 때문에 가로 세로가 휘어지는 구간이 보인다. 그럼 보는 사람이 어지럽거나 불편하다.

세로 영상을 찍으면 Final Cut Pro 등 후편 집 툴로 불러와서 음악을 입히고 혹은 자르고 붙이고 편집해서 59초 미만 영상을 만들면 유튜브 쇼츠(Shorts)로 사용할 수 있다.

자 내가 만든 Shorts를 하나 소개한다.

GoPro 11으로 찍고 편집한 영상

고프로 11 같은 액션캠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광량이 부족한 공간에 가면 어느 정도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 조그만 설정해도 노이즈가 자글자글하는 영상은 피할 수 있다!

Leave a Reply

%d bloggers like this: